주식이야기/고수의 투자 방법

슈퍼 개미 남석관님의 주식 사계론

since 1986 2021. 10. 25. 20:29
반응형

주식투자의 기본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견실한 기업에 투자자의 여윳돈을 투자함으로써 기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나누는 것’에 있습니다. 준비된 투자자에게는 항상 수익의 기회, 부자의 길을 제공하는 곳이 바로 주식시장입니다. 누구나 쉽게 주식투자에 참여할 수는 있지만, 모든 투자 참여자가 높은 수익을 거두어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달콤한 과실을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많은 준비와 노력이 뒤따라야만 합니다.

 그렇다면 지금 부터 주식투자의 참고사항 주식 사계론의 대하여 알아 보고 주린이들이 참고 하여 주식 투자를 하였면 좋겠습니다.


1분기(1~3)
1분기는 탐색기다. 1월에 중소형 개별주식들 중 한햇도안 이슈로 떠오를 만한 주식들이 조명을 받는다. 1분기는 앞으로 상승할 종목을 고르는 탐색의 시간이다. 이때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 역시 적극적인 매수를 줄이고 어떤 섹터가 유망할지 분석하고 탐색한다. 그러다 3월이 오면 일부 종목에서 슬슬 기지개를 켠다. 1분기에는 여름 과련주를 선취매해도 좋다. 간접투자자인 펀드도 이때 가입하는 게 바람직하다.
여름
2분기(4~6)
2분기는 개화기다. 자신감을 갖고 투자에 나서야 한다. 서계적인 주가 흐름도 3~6월이 나빴던 적은 거의 없다. 이때는 골든크로스 종목도 눈여겨봐야 한다. 2분기 말인 6월에는 상승폭이 큰 종목군에서 차익 실현 매물이 등장해 급락세를 보이는 일도 종종 있다. 1년 중 가장 편한 마음으로 투자에 집중하고 시세를 즐기는 시기라 할 수 있다.
가을
3분기(7~9)
3분기는 일명 혼조기다. 3월 이후 대세 상승을 이룬 종목에서는 7~8월에 상승 꼭지를 나타내는 종목이 많다. 3분기는 대외적인 변수의 영향도 많이 받는다. 오른 종목은 반드시 이익 실현으로 옮기고 단기적으로 조정을 보이는 종목만 매수 대응하다. 크세 상승후 데드크로스가 발생한 종목은 이유 불문하고 매도가 원칙이다.
겨울
4분기(10~12)
4분기는 휴식기다. 우리 주식시장의 과거를 돌아보면 4분기에 장이 좋았던 때가 거의 없었다. 투자자가 입장에서는 자산관리에 집중해야 할, 리스크가 가장 큰 시시다. 4분기에 투자를 실패 하거나 계좌관리를 못하면 1면 농사를 망치는 것과 같다. 적절한 대응법은 매수를 참고 유망한 투자종목 찾기 안목을 기르는 데 힘쓰는 것이다. 좋은 종목이 나타날 때까지 기다릴 줄 아는 것도 주식투자 실력이다. 그러나 예외적인 상황도 있따. 가령 2016, 2020년에는 미국 대선의 영향으로 10월까지 하락세 대선이후 불확실성이 제거이후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슈퍼개미가 알려주는 차트로 투자하는 방법 (주식투자, 슈퍼개미 남석관) - YouTub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