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는 누구
외국인은 국내 투자자가 아닌 외국법인 투자를 말하면 예를 들어 모건 스텐리, 메릴 린치등을 말하며 주가 흐름을 주도하는 하나의 세력이 되겠다.
기관 투자자는 은행, 보험, 자산운용사 같은 금융 투자 기관을 말하며 외국인과 같은 자산의 운용금액이 매우 크므로 주식 시장의 흐름을 주도한다.
2. 외국인과 기관투자가의 특징
외국인과 기고나투자자가 개인투자자보다 막대한 자본력과 정보력을 가지고 있는것이 특징이다. 주로 대형주 또는 우량주 위주로 선호 하는 경향이 있으며 외국인은 장기적으로 투자하고, 기관투자가는 중기적으로 투자하는 성향이 강합니다. 이유는 외국인은 수익률보다는 안정적인 운용을 기관 투자자는 수익률로 성과를 평가 받기 때문입니다.
기관내에서도 성향이 조금식 다른편인데 국민연금은 외국인과 마찬기지고 중장기적인 수익적 측면을 바라보는 겨향이 있이고 자산운용사는 단기 중기 운용을 금융기관은 단기수익을 추가하는 것이 대표적인 성향이다.
물론 이것은 대략적인 성향이지 절대적인 아닙니다.
3. 외국, 기관, 개인 투자자들의 패턴
1. 주가가 바닥권일때 외국인의 매수세가 유입 기본적인 하향식 기본분석을 선호
2. 주가가 바닥권을 탈피 했다고 판단했을때 기관의 매수가 나타나며 외국인과 같은 매수세르 타고 있기에 주가는 계속 양매수를 지양하고 있습니다.
3. 주가의 급등이후 외국인의 수익실현을 보고 매도세를 보이며 아직가지는 충분한 수익을 내지 못한 투자기관이 있으므로 주가는 계속 상승여력 있습니다.
4. 개인의매수가 들어오면 이때주가는 주가의 고점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때 외국인 기관들은 매도의 물량을 거의 개인에게 넘기는 시나리오를 보이고는 합니다.
5. 기관의 매도는 주가의 최정점일 수익실현이 완 됬다고 판단하고 적극적인 매도세를 보입니다.
6. 개인매도 모습을 보입니다. 수익 실현이 완료된 외국 기관의 매도수향으로 주가는 계속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외국인은 바닥에서 매수해서 상승 구간 중간에 매도하고, 기관은 상승 초기에 매수하여 최고점 부근에서 매도 합니다 하지만 개인투자자들은 대부분은 고점에서 매수 하락세가 나오면 매도를 하여 언제나 손해를 보는 모습을
보인다.
우리 주식 초보자들은 이러한 심리적은 성향을 바탕으로 투자의 시장의 심리를 잘파악하여 투자를 하는법을 배워야 할것이다.
'주식이야기 > 주식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투자 성향 파악하기 (0) | 2021.07.24 |
---|---|
시황 상황의 좋고 나쁨의 판단 방법 (0) | 2021.07.24 |
코스피, 코스탁의 차이점 (0) | 2021.07.22 |
주식시장의 위치 와 구조 (0) | 2021.07.22 |
주식 공부의 필요성 (0) | 202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