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이언트스텝
국내 대표 XR 콘테츠 제작 기업
리얼파임콘테츠 2020~23E 매출 CAGR +95%(연 평균 성장률 95%)
동사는 광고 VFX 및 XR 콘텐츠(리얼타임콘첸츠)제작 기업, 2016년부터 VFX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리얼타임엔진 활용 역량을 고도화 중에 있음. 리얼타임콘첸츠 매출은 2020년 39억원 > 2023년 292억으로 증가해 연평균 +95%의 성장률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
동사의 리얼타임콘텐츠 사업 매출은 1) 하이브리드 리얼타임 렌더링 솔루션, 2)버추얼 프로덕션(스튜디오), 3)버추얼 캐릭처 제작으로 구성, 동사는 총 3개의 버추얼 스튜디오를 보유하고 있는데, 6월 구축 완료 이후 높은 가동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 버추얼 캐릭터 사업관련 해선 SM엔터(에스파 가상 캐릭터), 스마일케이트(디지털 아이돌 한유아)이외에도 다른 파트너사들과 진행중인 버추얼 휴먼들이4Q21부처 순차적으로 릴리즈 예정, 특히 기존 VFX툴로 제작한 버추얼 휴먼이 아니기 떄문에, 인터랙티브가 가능한 콘텐츠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시장 내 다른 버추얼 캐릭터들과 차별화 포인트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맥스트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을 견인할 기술 사업자
동사는 국내 유일 AR SDK(AR앱 및 컨텐츠 저작도구)를 제공하는 플랫폼 운영기업. XR 콘텐츠 제작업체들이 여러 소프트웨어 엔진을 활용해 AR,VR 콘텐츠를 만든다면, 동사는 그 소프트웨어 엔진을 제공하는 기업. 동사의 사업모델은 AR 앱 다운로드 횟수 또는 하드웨어 판매량 연동하여, 플랫폼 이용에 따른 라이선스 비용을 과금하는 구조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는 글러벌 Peer 기업 PTC(Vuforia)가 있는데, 최근 AR 사업부분의 성장이 YoY +40~50%를 시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글로벌 AR 산업의 성장세가 최근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 중에선 맥스트가 수혜 기업이 될 수 있다는 판단
2022년 AR 디바이스 보급 가속화
2022년부터 AR헤드셋, AR글라스 등 AR 디바이스의 시장 보급 가속화가 예상, 이로 인해, 핵심 AR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시장에서 부각될 가능성 높음
더불어, 동사는 VPS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이를 활용한 AR공간플랫폼 사업을 준비중. VPS 기술을 활용 시, 광범위한 실내공간이나 도시 규모의 실외 공간에서도 AR서비스가 가능해지는 관계로 기존 대비 사업 규모와 기회가 비약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 동사는 2021년 정부가 추진 중인 "XR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 프로젝트"에서 플랫폼 구축 주관사로 선정
AR 시장의 성장성에 대한 근 기대
동사는 매출 가이던스로 2021년 77억원(YoY +31%) > 2022년 164억원(YoY +113%)제시 동 사이던스 시준으로, 동사의 전 주가는 2022E PSR 25.0배, 2023E PSR 14.6배 수준. AR시장의 성장과 동사의 기술력이 높게 평가 되면서, 동사의 매출 성장 자재력에 대한 시장 기대치가 튼 상황 1)AR솔루션 고객사 확대와 2)AR콘텐츠 제작물량 증가에 따른 플랫폼 수익 증가 여부가 동사의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체크포인트가 될것
'주식이야기 > 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선주자 이재명 대장주 TOP6 (0) | 2021.11.08 |
---|---|
디젤 요소수 관련주(롯데정밀화학, KG케미칼, 휴켐스) (0) | 2021.11.05 |
국민은행주 KB국민은행 주가 분석 (0) | 2021.10.21 |
반도체 관련 3대장 관련주(삼성전자,SK하이닉스,DB하이텍) (0) | 2021.10.19 |
카카오 주가의 하락 언제까지 내려 갈까? (0) | 2021.09.10 |